본문 바로가기
정보꿀팁/사회이슈

[사회]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는 반도체와 배터리, 백신공급

by ▤◎↔☏♪№ 2021. 5. 21.
반응형

한미정상회담이 얼마 남지 않았다. 코로나19 때문에 좋지 않은 경기 상황에 두 나라 대통령의 회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정보와 주요의제가 있는지 알아보자. 

1. 한미 정상회담 일정
2. 한미 정상회담 주요 의제
3. 주변 나라 반응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모습
(한)문재인 대통령과 (미)바이든 대통령

 

 

 

 1.한미정상회담 일정

21일(미국 현지시간), 우리 시간으로 22일 새벽 3시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양국 간 경제협력안에 많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 시간은 22일 오전 6시로 예정되어 있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문재인 대통령과 임기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미국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으로 양쪽의 입장이 다른만큼 귀추가 주목된다.

 

 

 

 2.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

 

  •  반도체와 배터리

삼성전자의 미국 반도체 위탁생산을 위한 투자 계획에 어떤 의견이 나올지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미국 반도체 수급을 위한 대책 회의에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참석하는 기업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투자 압박을 받고 있다. 반도체 관련자는 미국은 기술은 다수 보유하고 있지만, 생산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기술뿐만 아니라 생산과 공급도 우위를 지키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한다.

 

미국의 전기차 테슬라 등 전기차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배터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배터리 사용량 순위는 한, 중, 일이 모두 TOP 10위 에 든다고 전해지고 있다. 

  • 코로나 19 백신

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한국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으로부터 백신을 공급받는 대신 한국 기업들의 투자로 화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한국에 지원할지는 '검토 중'이라는 말만 남겼다. 관련자는 '백신 확보'에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공동성명에는 한반도 비핵화, 한미 미사일 지침 기후위기 등 동맹과 관련된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고 있다. 판문점 선언은 문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를 이야기하며 종전선언을 비롯한 평화협정 체결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남과 북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할 것이다.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다.'

 

 

 

 

 3. 주변 나라 반응

중국 언론은 한미 정상회담을 진행하며 한국이 미국 편을 들면 안 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미국이 한국을 끌어들여 중국을 제지하려고 하지만 한국은 자주성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 중국과는 무역 파트너 이자 한반도 해결 관련자임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대만과 관련한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대만 언급은 독약이라며 한국에 강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경제 동맹 모두 윈윈 하는 결과가 나오기를 바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