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한 금융 관련 상품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6월부터 시행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여부와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는 어떤 상품일까?
2. 신청방법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3.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
4. 그외 정보들
1. '청년도약계좌'는 어떤 상품일까?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치솟은 물가대비 사회초년생들에게 조금이라도 경제활동에 기여하고자 정부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포함하여 비과세혜택까지 있어 목돈 만들기에 좋은 상품입니다. 소개에 따르면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고 최대 5,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2. 신청방법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신청대상
신청대상은 만19이상 34세 이하 청년으로 연간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고, 가구소득이 중위 소득의 180% 이하여야 한다. 위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가능합니다.
※ 병역 이행한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계산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중위소득(총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차례를 정할 때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
가구원 수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월 소득 | 2,000,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연 소득이 6,000만원 이상일 경우, 정부지원금은 미지급, 은행이자 및 비과세 혜택가능
※소득이 없거나 취업준비생, 대학생은 신청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아르바이트 시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가입가능합니다.
■신청기간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신청가능합니다. 매월 2주 동안 신청을 받고 2~3주 내로 심사 후 결과통보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3.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
개인 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급 및 만기 금액이 달라집니다.
개인소득 | 본인 납입한도 | 기여금 지급한도 | 기여금 매칭 비율 | 기여금 한도 |
2,400 이상 | 월 70만원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 이상 | 50만원 | 4.6% | 2.3만원 | |
4,800 이상 | 60만원 | 3.7% | 2.2만원 | |
6,000 이상 | 70만원 | 3.0% | 2.1만원 | |
7,500 이상 |
예상하는 납입액 별 만기금액은 40만 원은 약 2700~2900만 원, 50만 원은 약 3,400~3,600만 원, 60만 원은 약 4,100~4,300만 원, 70만 원은 약 4,800~5.000만 원입니다.
4. 그 외 정보들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들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 일 경우 중복가입이 가능합니다.(ex 청년내일저축계좌, 쳥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청년희망적금 만기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가입에 필요한 서류는 따로 필요하지 않고, 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 및 해당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가입할 당시 소득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매년 심사를 통해 정부 기여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금융사는 아직 미정이므로 확정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보꿀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후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건강보험 보험료 줄이는 방법 알아보자. (0) | 2023.02.16 |
---|---|
교보생명 퇴직연금 IRP 계좌 해지하는 방법 (0) | 2023.02.15 |
퇴직금 받기 위한 교보생명 IRP 계좌 개설 및 가입방법 (0) | 2023.02.14 |
계약만료로 퇴사할 경우, 챙겨야 할 서류(이직확인서 확인 방법) (0) | 2023.02.08 |
치매 예방을 위한 음식?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 (0) | 2022.07.19 |
댓글